엑셀 DATEDIF 함수, 날짜 계산이 이렇게 쉬웠다고요?
엑셀을 자주 사용하는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보셨을 거예요.
“입사한 지 얼마나 됐더라?”
“아이 생일까지 며칠 남았지?”
“이번 프로젝트, 정확히 며칠 걸렸지?”
이럴 때 대부분은 두 날짜를 빼서 일수만 확인하거나, 달력을 보면서 손으로 세죠. 그런데 그렇게 하면 실수도 생기고,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
이런 고민을 단 한 줄의 수식으로 해결해주는 함수가 있습니다. 바로 숨은 보석 같은 함수, DATEDIF 함수입니다.
[목차]
DATEDIF 함수란?
DATEDIF는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년, 월, 일 단위로 정확하게 계산해주는 함수입니다. 엑셀의 일반 함수 목록에는 표시되지 않아서 잘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지만, 직접 입력해서 사용하면 매우 강력한 기능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생일부터 오늘까지 경과된 나이를 구하거나,입사일 기준으로 근속연수를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기본 구조와 단위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각 인수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시작일(Start_date): 비교를 시작할 날짜 (예: 생년월일, 입사일)
- 종료일(End_date): 비교 대상 날짜 (예: 오늘 날짜, 계약 만료일)
- 단위(Unit): 어떤 단위로 날짜 차이를 계산할지 선택
사용 가능한 단위 목록
단위 | 의미 및 설명 |
"Y" | 전체 연(年) 수 계산 |
"M" | 전체 개월(월) 수 계산 |
"D" | 전체 일(日) 수 계산 |
"YM" | 연도 무시, 개월만 계산 |
"MD" | 연도, 개월 무시, 일만 계산 |
"YD" | 연도 무시, 일만 계산 (월 단위 포함) |
예를 들어 "Y"는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완전한 연 수를 반환하는데 생일로부터 몇 살이 되었는지 계산할 때 유용합니다.
"YM"은 연을 제외한 월 차이를 구할 때 사용하고, "MD"는 월과 연도를 제외한 일 수만 계산합니다.
사용 예시
=DATEDIF("2019-01-01", TODAY(), "Y")
→ 몇 년이 지났는지 계산=DATEDIF("2019-01-01", TODAY(), "M")
→ 개월 수=DATEDIF("2019-01-01", TODAY(), "D")
→ 일수
실생활에서 이렇게 활용해요!
DATEDIF 함수는 단순한 계산을 넘어, 다양한 상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 나이 계산
먼저 아래와 같은 예제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DATEDIF(A2, TODAY(), "Y")
=DATEDIF(A2,B2, "Y")
A1 셀에 생년월일이 있을 때, 현재 나이를 계산합니다.
결과 : 52
✔ 근속 연수 계산
=DATEDIF(A2, TODAY(), "Y") & "년 " & DATEDIF(A2, TODAY(), "YM") & "개월"
=DATEDIF(A2, A3, "Y") & "년 " & DATEDIF(A2, A3, "YM") & "개월"
입사 후 근무한 연수와 개월 수를 구할 수 있어요.
결과 : 16년 6개월
✔ 프로젝트 소요 기간 확인
=DATEDIF(시작일, 종료일, "D")
두 날짜 사이 며칠이 걸렸는지 일 단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 : 186
✔ 계약 종료일까지 남은 기간 확인
=DATEDIF(TODAY(), 종료일, "D")
오늘부터 종료일까지 남은 일 수 계산에 유용하죠.
결과 : 253
이 외에도 아이 성장기록 관리, 연차 정산, 보험 청약 조건 확인 등 날짜가 중요한 모든 업무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
- 시작일이 종료일보다 늦은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항상 순서를 먼저 확인하세요. - 함수 자동완성 목록에는 뜨지 않기 때문에, 수동 입력이 필수입니다.
- "MD" 단위는 가끔 예외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어요.
주로 연말·연초처럼 날짜 기준이 애매할 때 그렇습니다.
그래서 "MD"나 "YD" 단위를 사용할 땐 한 번 더 결과를 검토하는 것이 좋아요.
언제 사용하면 딱 좋을까?
✅ 회사에서
- 연차 계산, 근속연수, 프로젝트 기간 관리
✅ 일상생활에서
- 가족의 생일 D-Day 계산
- 아이 성장 기간 체크
- 연령별 이벤트 조건 확인 (예: 청년 전세대출)
✅ 행정·금융 업무에
- 연도 기준 연금, 세금, 보험 계산서 작성 시
- 경력증명서 작성 시 기간 계산 자동화
📌 특히 반복되는 업무에 엑셀 서식을 만들어 놓고,
DATEDIF 함수를 활용하면 매달 자동으로 갱신되는 스마트한 시트가 완성됩니다.
마무리하며 – DATEDIF는 엑셀 날짜 계산의 핵심
날짜 계산은 간단해 보이지만, 단위가 다르면 실수하기 쉽고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DATEDIF 함수를 알고 나면 이런 계산이 정말 간편해집니다.
특히 직장인, 학생, 자영업자, 주부 등 누구나 쉽게 배우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엑셀에서 날짜 간의 거리나 남은 기간을 계산해야 할 일이 있다면, DATEDIF 함수부터 떠올려보세요.
정확하고 빠르며, 업무 효율을 확실히 높여줍니다.
지금 바로 한 번 사용해보세요!
엑셀 활용력이 확 달라집니다.
'엑셀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엑셀 오류 해결 필수! IFERROR 함수로 엑셀 #DIV/0!, #N/A, #VALUE!오류 해결하는 방법 (2) | 2025.04.15 |
---|---|
엑셀 VLOOKUP, 이젠 여러 열도 한 번에! 중괄호 {}의 놀라운 사용 활용법 (0) | 2025.04.14 |
엑셀 매출 정리 피벗 없이 요약 그룹별 합계 조건별 데이터 요약 빨리 끝내는 방법 (1) | 2025.04.10 |
출퇴근만 입력하면 끝! 실무에 딱 맞는 엑셀 근무시간표 자동화 만들기 💡 (0) | 2025.04.07 |
함수 없이 같은 셀에 문자를 다른 셀에 문자 추출하는 방법-빠른 채우기로 데이터 빨리 정리하기 (2)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