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잠이 없어진다"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우리 몸속 생체시계에 영향을 끼쳐 밤낮을 구별해 신체리듬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잠자는 시간이 짧아지고 아침잠이 없어지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노화의 결과가 아닌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만성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노년기의 수면과 관련하여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노화와 수면
노년이 되면 잠의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의 감소로 일찍 자고 일찍 깨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잠자기 두 시간 전부터 분비량이 늘어나고, 해가 뜨면 줄어듭니다. 나이가 들어 송과체가 퇴화하면 멜라토닌 분비량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이른 새벽에 잠에서 깨게 됩니다.
또한 노인이 되면 서파 수면이 현저히 떨어져 노인 수면장애를 일으킵니다.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논-램’이라는 4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수면 구조가 정상인 사람은 논-렘에서 렘으로 이어지는 주기를 하룻밤에 4~6회 반복합니다. 논-렘 단계는 '서파 수면’이라고도 하는데, 낮에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으로부터 의미를 끌어내고 정리합니다. 뇌의 해마는 서파 수면을 통해 온갖 사건에 대한 기억을 정립하고 같은 맥락 속에서 파악합니다. 서파 수면은 절차와 관련된 기억을 뚜렷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청년기 수면의 20%를 차지하던 서파 수면은 중년에 이르러 3%를 조금 넘기는 수준으로 떨어집니다. 그렇게 되면 수면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 회복이 더뎌지고 수면 중 각성 빈도가 증가합니다. 수면 생리가 불안정해지면 다양한 수면장애의 발생 빈도도 높아집니다. 노인 고유의 수면-각성 주기가 실제 생활과 일치하지 않으면 수면의 질 저하와 만성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노년기와 수면장애
노년층은 통증·호흡계 질환·심혈관계 질환 같은 다양한 신체적 문제로 인해 잠에 쉽게 들지 못하거나 잠에서 자주 깨기도 합니다. 관절염 등의 퇴행성 질환이 있다면 통증으로 인해 잠을 못 이루기도 하고, 전립선 질환이나 과민성 방광 등의 문제로 인한 야간뇨나 빈뇨로 잠을 설칠 수 있습니다. 이런 질환이 있는 노인은 잠을 깊게 자기 힘들고 잠이 들더라도 자주 깨는 수면 분절을 겪게 되어 수면의 질이 떨어집니다
다른 질병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일부 우울증 치료제, 기관지 확장제, 베타 차단제, 중추신경자극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은 불면증을 유발합니다. 반대로 수면 과다를 초래하는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노년층에서 불면증이 지속되면 무작정 수면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편, 잠꼬대를 심하게 하는 노인이라면 치매나 파킨슨병과 깊은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가 있는 건강한 환자 29명 중 38%가 치매·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진행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원래 렘수면 동안에는 뇌간 안에 운동마비 조절 부위가 작동돼 움직임이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정상인데, 뇌간에 질환이 있거나 뇌간에 운동 조절이 문제가 되는 파킨슨병의 경우 렘수면 동안 정상적인 운동마비 기능이 저하돼 수면 중 심한 잠꼬대나 움직임이 야기됩니다. 이러한 잠꼬대나 렘수면행동장애는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가 가능하므로 노인에게서 잠꼬대나 수면 중 이상행동이 많아진다면 치매나 파킨슨병 전조 증세로 이해하고 빠르게 병원을 방문해 치료해야 합니다.
불면증 해결을 위한 방법
노인 불면증 등 노년기 수면장애 치료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선 스트레스·우울증 같은 심리적·정신적 문제가 있으면 불면증의 원인이 됩니다 불규칙한 생활습관, 자주 또는 오래 누워 있는 습관, 복용하는 약물, 과도한 카페인 섭취, 음주, 흡연 등도 불면증에 영향을 미칩니다 잠을 자려고 수면제를 오남용하거나 장기 복용하면 낙상, 인지 장애, 섬망, 치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디톡스의 중요성과 실행 방법 (21) | 2024.01.31 |
---|---|
겨울의 추위와 관절 통증: 이해하고 대응하기 (25) | 2024.01.24 |
간 건강과 이상 증세: 우리 몸을 지키는 첫걸음 (14) | 2024.01.08 |
마지막 희망 치과 신경치료를 해야 하는 이유 (16) | 2023.12.30 |
하루 4000보 올바르게 걸어야 하는 이유 (18) | 2023.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