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천장을 뚫은 지금, ‘저평가된 안전자산’ 은(銀)에게 기회가 몰리고 있습니다.”
미국‧유럽의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온스(oz)당 36.8 달러를 회복한 은 시세는 올해만 21 % 이상 상승하며 13년 만의 고점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수단마다 세금·수수료·환율 리스크가 제각각이라 “무작정 사면 된다”는 접근은 위험합니다.
오늘은 2025년 7월 최신 데이터를 반영해 실물·ETF·광산주·실버뱅킹·디지털 은 다섯 가지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보유 기간·목적별 최적 조합까지 한눈에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목차]
같이 보면 좋은글
금, 어디에서 사야 가장 저렴할까? 은행이 정답입니다!
2025년 은(銀) 시장 핵심 트렌드
- 산업 수요 재부각 – 전기차·태양광용 실버 페이스트 소비 급증
- 달러 강세 완화 – 美 연준의 완화적 전환 기대감
- 동시에 커진 변동성 – AI·블록체인·BTC 등 ‘대체 자산’ 유입
실버 가격 동향(’24.7 → ’25.7)
구 분 | 2024.07 | 2025.07 | 증감율 |
런던 고시가(USD/oz) | 30.8 | 36.8 | ▲19.5 % |
원/달러 환율(평균) | 1,310 | 1,298 | ▼0.9 % |
KODEX 은선물(H) 종가(원) | 5,380 | 6,455 | ▲19.9 % |
Insight – 환율 영향이 줄며 ‘환헤지형 ETF’ 수익률 방어가 돋보였습니다. 다만 만기 롤오버 비용이 커지므로 장기 보유라면 총보수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은 투자 5대 루트 최신 비교
구 분 | 실물 바·코인 | ETF | 광산주 | 실버뱅킹 | 디지털 은 |
보유형태 | 실물 | 선물추종 펀드 | 주식 | 은 통장(0.01g) | 토큰( 1 g↑) |
세금 | 부가세 10 %(매입) |
배당·양도 15.4 % |
배당·양도 15.4 % |
배당 15.4 % |
인출 시 부가세 |
수수료 | 스프레드 10~15 % |
총보수 0.68 % | 증권 수수료 | 매매 3.5 % | 매입 2.5~5 % |
유동성 | 낮음 | 매우 높음 | 높음 | 보통 | 보통 |
위기 대응 | 최상 | 보통 | 낮음 | 낮음 | 보통+ |
※ KODEX 은선물(H) 총보수 0.68 % 기준 국내 주요 실버뱅킹 매매수수료 3.5 % 기준
같이 보면 좋은글
금, 어디에서 사야 가장 저렴할까? 은행이 정답입니다!
방식별 상세 특성 & 투자 팁
실물 – ‘전통‧안정’의 상징
- 장점 : 위기 시 물리적 자산, 양도세 없음
- 단점 : 부가세 10 % + 프리미엄, 보관·도난 리스크
- TIP : 개인 간 직거래 땐 부가세 없이 매매 가능(위조 검증 필수)
ETF – ‘저비용 + 고유동성’
- KODEX 은선물(H) 하루 거래대금 150억 원↑(7월 3일 기준)
- 해외 SLV·PSLV는 환율·배당세 22 % 추가 고려
- TIP : <3개월~2년> 스윙 투자에 적합, 롤오버 비용 체크
광산주 – ‘레버리지 2~3배’
- 은 가격 1 % 변동 → 주가 2~3 % 움직이는 경향(β>2)
- 급락 리스크·실적 변동성 주의, 배당일 연 1회 체크
실버뱅킹 – ‘은행 신뢰 + 소액’
- 0.01 g 단위 거래, 매매수수료 평균 3.5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 배당소득세 15.4 %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
- 예금자보호 제외, 인출 최소량 100 g↑
디지털 은 – ‘실물 + 블록체인’
- 센골드 앱 : 매입 수수료 2.5 %, 인출 부가세 10 %
- XAUT·KAG : 글로벌 거래소 상장, 메타마스크 보관 가능
- TIP : 네트워크 수수료·인출 최소량(보통 100 g)까지 합산해야 진짜 비용이 보입니다.
비용 시뮬레이션(1 kg 기준 · 2025-07-04)
채널 | 시세(원) | 세금·수수료 | 최종가 |
한국금거래서(바) | 1,780,000대 | 부가세 10 % + 매도 스프레드 8 % | 1,921,000대 |
실버뱅킹 | 1,780,000대 | 매매 3.5 % + 인출 부가세 10 % | 1,994,000대 |
센골드(e은) | 1,780,000대 | 매입 2.5 % + 인출 부가세 10 % | 1,975,000대 |
KODEX 은선물ETF | - | 총보수 0.68 % + 배당세 15.4 %(차익 시) | 시세 연동 |
※ 달러/원 1,298 원, 트로이온스→kg 환산 적용
목적·기간별 최적 조합
투자성향 | 예상 보유기간 | 추천 방식 | 핵심 이유 |
“위험 최소화·실물 보유” | 5년↑ | 실물 바·코인 | 세금無 · 위기 대응 최상 |
“간편·저비용” | 3개월~2년 | ETF | 원클릭 거래·고유동성 |
“레버리지 수익” | 1~3년 | 광산주 | 은 시세 대비 β 2~3 |
“은행 기반 관리” | 2년↑ | 실버뱅킹 | 1금융 신뢰도·소액 가능 |
“실물+디지털 융합” | 3년↑ | 디지털 은 | 블록체인 투명성+인출 옵션 |
실전 체크리스트 & 꿀팁

- 세금 신고 – 해외 ETF·광산주는 직접 양도세 신고 필요, 미신고 시 가산세
- 환율 리스크 – 해외 상품은 원·달러 1 % 변동 = 수익률 ±1 %
- 보관·보험 – 실물은 사설 금고 月 1만 원대, 도난 보험 추가 고려
- 롤오버 캘린더 – ETF 만기(3·5·9·12월) 전후 가격 괴리 주의
- 숨은 비용 – 앱·은행 안내 외 카드 수수료·가스비까지 합산해야 실비용 파악
결론 – ‘보유 기간·목적’이 곧 답이다
은(銀) 투자의 핵심은 결국 “얼마나 오래, 어떤 목표로”를 명확히 정하는 데 있습니다. 보유 기간이 길수록 실물 자산의 안정성이 빛나고, 단기·중기라면 ETF · 광산주처럼 유동성이 높은 수단이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은은 블록체인 투명성과 실물 교환 옵션을 동시에 노릴 수 있지만, 수수료와 인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Action Item ✔ : 위 비용 시뮬레이션 표와 체크리스트를 엑셀에 그대로 옮겨서, ① 예상 매수 단가 ② 목표 수익률 ③ 보유 기간을 입력해 손익분기점(BEP)을 직접 계산해 보세요. 숫자로 확인하면 ‘내게 맞는 은 투자’가 한층 선명해집니다.
“Real assets, smart strategy — 은(銀)으로 내 자산의 방패를 완성하세요.”
같이 보면 좋은글
금, 어디에서 사야 가장 저렴할까? 은행이 정답입니다!
'돈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위안화 동조화, 내 지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6) | 2025.06.24 |
---|---|
직장인이 ‘경정청구’를 반드시 챙겨야 하는 3가지 이유 (4) | 2025.06.19 |
2025년 버전 “집 살 때·가지고 있을 때·팔 때” 필수 부동산 세금 가이드 (3) | 2025.06.19 |
2025 은 가격 전망: 금 대신 은이 뜨는 이유 (3) | 2025.06.18 |
대출 상환 방식 완전 정복! 원리금 균등·원금 균등·만기일시·체증식 비교 가이드 (0) | 2025.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