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2025년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중요한 선거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는 조기 대선으로 치러지며, 유권자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특히, 사전투표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사전투표의 절차와 일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사전투표란 무엇인가요?
사전투표는 선거일에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이 미리 투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별도의 신청 없이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으며, 신분증만 지참하면 됩니다. 이는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제도로, 지난 선거에서도 많은 분들이 이용하셨습니다.
사전투표 일정과 시간
- 투표일: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투표시간: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사전투표는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가능합니다. 바쁜 일정으로 선거일에 투표가 어려우신 분들은 이 기간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전투표 절차 안내
- 신분증 제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제시합니다. 모바일 신분증(네이버 자격증, 카카오톡 지갑, PASS 앱 등)도 사용할 수 있으나, 캡처 이미지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앱 실행 화면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 본인 확인: 본인 확인기에서 손도장 또는 서명을 통해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합니다.
- 투표용지 수령 및 투표:
- 관내선거인: 해당 구·시·군위원회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는 투표용지를 수령한 후 기표소에서 기표하고, 보이지 않게 접어 관내투표함에 투입합니다.
- 관외선거인: 해당 구·시·군위원회 관할구역 밖에 주소를 둔 유권자는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수령한 후 기표소에서 기표하고,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한 후 관외투표함에 투입합니다.
본투표 일정과 절차
- 투표일: 2025년 6월 3일(화)
- 투표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본투표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해당하는 지정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주소가 변경된 경우, 5월 2일까지 전입신고를 마쳤어야 새로운 주소지에서 투표가 가능합니다. 그 이후 전입한 경우에는 기존 주소지 기준 투표소를 이용해야 합니다.
투표 자격
선거일 기준으로 만 18세 이상, 즉 2006년 6월 4일 이전에 출생한 대한민국 국적의 유권자는 투표권이 주어집니다. 해외에 거주하거나 일시 체류 중인 재외국민의 경우, 해당 지역 공관을 통해 사전에 재외선거인 등록을 완료했을 때에만 투표가 가능합니다.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표할 수 없습니다.
개표 및 당선자 발표
투표는 6월 3일 오후 8시에 종료되며, 이후 전국 각지에서 곧바로 개표가 시작됩니다. 개표 결과는 실시간으로 집계되며, 이르면 다음 날인 6월 4일 새벽 시간대에 당선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최종 당선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공식 개표 결과를 통해 발표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제21대 대통령선거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사전투표를 통해 바쁜 일정 속에서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첫걸음이 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스24(YES24) 랜섬웨어 공격 사태 완전 정리: 인터넷 서점 접속 장애부터 복구 일정까지 (11) | 2025.06.12 |
---|---|
2025년 에너지 바우처 신청방법 총정리!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꿀팁 (4) | 2025.06.02 |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내 소중한 개인정보는 괜찮을까? (2) | 2025.04.28 |
아르바이트도 퇴직금 받을 수 있어요? 안 받으면 손해! (1) | 2025.04.11 |
🔥 산불 피해 기업, 세금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재해손실 세액공제 신청하는법 (1) | 2025.04.07 |
댓글